반응형
《킹덤》 줄거리 요약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은 왕의 병을 둘러싼 미스터리와 생사를 넘나드는 역병의 확산, 그리고 권력 투쟁을 다룬다.
이야기는 왕이 갑작스레 병에 걸리고 세자 이창(주지훈)이 궁에서 소외되면서 시작된다. 왕의 상태를 확인하려 하지만, 왕을 돌보는 조학주(류승룡)와 그의 딸인 왕비(김혜준)가 이를 막는다. 왕이 살아 있는지조차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이창은 왕의 주치의였던 이승희를 찾아 나서고, 그 과정에서 기이한 역병이 퍼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역병에 걸린 사람들은 죽은 뒤 다시 살아나 사람들을 공격하는데, 낮에는 움직이지 않다가 밤이 되면 다시 활동한다. 이창은 서비(배두나)와 함께 역병을 막고 조학주의 권력 남용에 맞서 싸우며, 조선의 왕권을 둘러싼 거대한 음모와도 맞닥뜨린다.
왕과 신하의 대립
《킹덤》에서 가장 중요한 정치적 갈등은 왕과 신하(조학주) 간의 대립이다.
- 왕권의 쇠퇴와 왕의 존재감 부재
조선의 국왕(이창의 아버지)은 병에 걸려 사실상 통치를 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왕은 조학주에 의해 은폐되고 있으며, 왕실은 허울뿐인 존재로 전락한다. 이처럼 왕의 권력이 무너진 상황에서 조학주는 실질적인 권력을 쥐고 정국을 주도한다. - 신하의 권력 장악
조학주는 왕비를 자신의 가문(해원 조씨)과 혼인시켜 왕실을 장악하려 하고, 결국 새로운 왕을 탄생시키려 한다. 그는 역병까지 이용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는데, 이는 조선 후기 신하들이 왕권을 약화시키고 실질적인 정치를 주도했던 역사적 현실과도 맞닿아 있다. - 세자의 역할과 도전이창은 이러한 상황에서 무력한 왕권을 되찾기 위해 싸운다. 역병과 맞서며 신하들의 전횡을 저지하려 하지만, 자신의 왕위 계승권마저 위협받는다. 이는 조선 시대 내내 지속된 왕과 신하 간의 갈등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한국 좀비의 오컬트적 재해석
《킹덤》은 기존 서양 좀비물과 차별화된 한국적 요소를 활용하여 독창적인 오컬트적 해석을 가미했다.
- 생사초(生死草)와 한약적 설정
서양 좀비가 주로 바이러스나 생화학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반면, *《킹덤》*에서는 "생사초"라는 한약적 요소를 이용해 죽은 자를 되살리는 개념을 도입했다. 이는 조선 시대의 전통적 한의학과 연계되며, 생사초를 통한 부활이 자연 질서를 거스르는 행위로 묘사된다. - 밤과 낮의 차이: 유교적 세계관 반영
역병에 걸린 자들이 낮에는 움직이지 않고 밤이 되면 활동하는 설정은 조선 시대의 유교적 질서와 연계된다. 유교에서 낮은 양(陽), 밤은 음(陰)으로 구분되는데, 좀비들이 밤에만 움직이는 것은 음기의 작용과도 관련이 있다. 이는 단순한 공포 연출을 넘어 한국 전통 사상과 연결되는 설정이다. - 왕권과 역병의 연결
좀비가 단순한 괴물이 아니라, 왕권을 둘러싼 부패와 탐욕에서 비롯된 재앙이라는 점도 흥미로운 해석이다. 역병은 단순한 전염병이 아니라 잘못된 정치와 부패한 권력에 의해 퍼진다. 이는 한국 역사에서 권력의 부패가 민중의 고통으로 이어졌던 사례들과도 맞닿아 있다. - 민속적 공포 요소
- 처녀귀신과 유사한 창백한 얼굴과 비틀린 움직임
-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를 넘나드는 주술적 설정
- 생사를 조종하는 생사초의 신비로움
결론
《킹덤》은 단순한 좀비물이 아니라, 조선 시대의 정치적 대립, 신하의 전횡, 왕권의 붕괴 등을 그려낸 작품이다. 또한 서양식 좀비와 달리, 한국적 한의학과 민속신앙을 기반으로 한 독창적인 오컬트적 해석을 보여준다. *《킹덤》*이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이유는 단순한 공포를 넘어선 한국적 정서와 역사성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영화 3인칭 시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하사탕" 지나가버린 것들의 추억 (1) | 2025.03.31 |
---|---|
"범죄도시" 정의와 범죄, 그리고 힘의 사용 (1) | 2025.03.30 |
"터널" 절망과 희망의 끈 가족 (0) | 2025.03.30 |
"부산행" 한국 좀비와 연상호 감독 (2) | 2025.03.29 |
"써니" 80년대를 기억하며 나에게 보내는 편지 (1) | 2025.03.28 |